이사체크리스트,이사준비체크리스트

 이사 준비를 하기 전에 무엇부터 해야할까?

미리 미리 대비를 하는 이사체크리스트

3-4주전

이사 일정이 정해지면 허가업소 가운데 이사대행업체를 선정하여 예약
이사견적비교, 가격비교를 이용하시면 희망하시는 이사날짜의 가능한 업체 및 가격을 알 수 있다.

  • 이사할 집을 답사하여 수리할 곳 확인
  • 이사, 청소업체, 도배업체, 인테리어업체 등 견적의뢰 및 예약
  • 이사당일 유아, 환자 등 거처마련
  • 학교전학 수속
    2주전 포장이사 또는 보통이사를 택해 이삿짐업체와 계약. 포장이사를 이용할 때에는 표준계약서를 받아둔다.
  • 이사짐 꾸리기(일반이사의 경우)
  • 이삿짐업체와 계약, 표준계약서 작성(포장이사의 이용)

1주전

고층아파트 이사시 관리소에 곤도라나 엘리베이터 이용을 예약.
수도료/전기료 등 공과금 및 아파트관리비 납부, 신문 우유등 배달 중지 요청등을 한다.

  • 각종 고지서 및 우편물 주소변경
  • 전화이전 신청 (100번)
  • 수도료, 전기료 등 공과금 및 아파트관리비 납부
  • 신문 및 우유 등 배달중지 요청
  • 이사갈 집이 아파트일 경우 곤도라 사용 예약 (예약처:관리사무소)
  • 이삿짐 꾸리기 완료 (일반이사의 경우)

 

2-5일전

이사갈 집을 방문해 도면을 그려오고, 이때 전기콘센트의 위치를 반드시 표기해야한다.
또한, 이사갈 집의 청소 및 변기 욕조상태를 살펴 필요하면 미리 도배공이나 청소원과 계약해 둡니다.
전입신고는 이사후 14일 이내에 하도록 되어있으나, 이사전 미리 동사무소에서 해도 좋다.
(가족중 성년인 사람의 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자동차등록증, 지역의료보험증 지참)
전출신고 및 예비군 민방위 전입신고는 자동으로 처리둔다.

  • 이사갈 집 인테리어 또는 도배상태 최종 확인 (하자유무 등)
  • 이사갈 집 도면 작성 및 전기콘센트 위치 파악
  • 취사도구 등 부엌살림 정리 및 청소
  • 각종 설치물 분해 (앵글, 선반, 커튼, 에어컨, TV안테나 등)
  • 세탁물 점검 (세탁소)
  • 재활용 및 폐품처리 (동사무소, 재활용센터 등)
  • 이사인력 확보 (일반이사의 경우)

1일전

냉장고의 남은 음식을 처리하고, 에어콘, 위성안테나 분리 및 재설치 한다.
귀중품보관은 미리 따로 보관하시고, 각종 공과금을 정산하고, 도시가스 신고 등의 최종점검을 한다.

  • 냉장고 음식물 정리
  • 각종 공과금 정산 (수도, 전기, 도시가스, 관리비 등)
  • 귀중품 보관
  • 이사갈 집 최종 청소
  • 이사업체에 연락하여 시간 최종 확인
    이사당일 출발전 빼놓은 물건이 없는지 확인하고, 이사업자와 미팅, 이삿짐 반출 및 반입을
    확인한 후 이사요금을 정산한다.
  • 이삿짐 포장, 운반, 정리 (정리시 분실 또는 파손 여부 확인)
  • 이사요금 정산
  • 전기, 가스, 수도, 전화개통

이사체크리스트,이사준비체크리스트 - 링크 @

이사당일

전화개통시험, 에어컨 및 안테나 가전제품등 설치한다.
초등학생은 거주지 동사무소에서「취학아동 전입통지서」를 받아 해당학교 전학시키고,
중학생은 전학용 재학증명서를 발급받아 해당 교육구청에 전학신청하여 학교를 배정받아 전학시키고,
고등학생은 전입한 주소의 주민등록등본을 발급받아 서울시 교육청에 제출한 후 학교를 배정받아 전학시킨다.
전세 세입자일 경우에는 동사무소에서 주택임대차 계약 확정일자를 받아둔다.

  • 각종 행정신고 (주민등록전입, 차량주소변경, 지역의료보험 신고 등)
  • 동사무소에서 주택임대차 계약 확정일자 날인 (전세 세입자의 경우)
  • 초/중/고교 전학신고 (학교)
  • 이사후 A/S요청 및 집단장